2025년 7월 20일, 이재명 대통령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지명을 공식 철회했습니다. 단순히 도덕성 논란 때문만은 아니었습니다. 청문회를 지켜본 국민들과 교육계는 묻고 있었습니다. “그녀는 정말 대한민국 교육을 이끌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었는가?”
이번 글에서는 이진숙 후보자의 능력과 교육 방향성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왜 그녀가 끝내 교육부 장관이 되지 못했는지를 짚어보겠습니다
1.청문회에서 드러난 ‘능력 검증’의 한계
이진숙 후보자는 충남대학교 총장을 지낸 생명과학 분야의 교수로, 학문적 성과와 대학 행정 경험을 겸비한 인물로 주목받았습니다. 하지만 교육부 장관은 대학 총장과는 전혀 다른 자리입니다. 전국의 유·초·중·고 교육 정책과 교원 수급, 교육 불평등 해소, 디지털 전환 등 다층적인 과제를 종합적으로 이끌어야 하는 자리입니다.
7월 16일 진행된 인사청문회에서 그녀는 여러 차례 핵심 정책 질문에 명확한 비전이나 실무적 이해 없이 원론적인 답변에 그쳤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그런 답변들은 대한민국 성인이라면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답변 뿐 있었습니다.
2.정책 비전은 있었나? 실질적 방향 제시는 부족
이 후보자가 청문회에서 밝힌 대표적인 정책 입장은 ‘의대 정원 확대’ 관련 내용이었습니다. 그녀는 "정원 확대는 필요하지만, 추진 과정에서의 소통이 부족했다"고 말하며, 향후에는 충분한 공감대 형성과 절차적 합리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지만 어떻게 공감대를 형성을 해서 추진 할것인지의 뚜렷한 방향성에 대한 답은 충분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이 입장은 고등교육 한 영역에 한정된 의견일 뿐, 유·초·중등 교육이라는 교육부 장관의 핵심 책무에 대한 철학이나 계획은 찾아보기 어려웠습니다.
고교학점제, 교원 양성, 디지털 교육 격차와 같은 민감하고 중요한 교육 현안에 대한 질의가 쏟아졌지만, “살펴보겠다”, “검토해보겠다”는 식의 답변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최소한에 구체적 대안이나 구조적 진단에 대한 고민도 없이 청문회 자리에 앉아 답변을 하였다는데 시청들에게는 충격이었습니다.
3.교육행정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도 부족
특히 현직 교육 관계자들과 국민들의 우려를 자아낸 것은, 후보자가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같은 기본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가 낮았다는 점입니다. 현장 교사들과 교육청 실무자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행정 시스템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어떻게 실질적인 교육 정책을 추진하겠느냐는 비판이 거셌습니다.
또한 유·초·중등 교육과 관련된 리더십 경험이 거의 없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됐습니다. 후보자의 이력은 대학 중심이었고, 초중등 현장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정책 감각은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4.도덕성 논란은 2차적, 본질은 ‘국민적 신뢰 부족’
물론 그녀를 둘러싼 논문 표절, 쪼개기 출판,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 그리고 자녀의 불법 조기 유학 및 학비 출처 논란도 지명 철회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하지만 핵심은 이런 의혹들이 해명 여부를 떠나, 교육 수장으로서의 국민적 신뢰를 떨어뜨렸다는 점입니다.
대통령실조차 "해명된 부분도 있지만, 해명되지 않은 부분도 있으며, 국민 여론을 고려했다"고 밝혔습니다. 결국 정책 능력과 도덕성이라는 두 축 모두에서 신뢰를 얻지 못한 채 후보자는 물러났습니다.
5.‘교수’는 될 수 있었지만, ‘교육부 장관’은 아니었다
이진숙 후보자는 박사 학위, 연구 실적, 대학 총장이라는 이력으로만 보면 분명 뛰어난 전문가였습니다. 그러나 교육부 장관은 교육 철학, 실천력, 대국민 소통 능력, 정치적 설득력까지 요구되는 자리입니다.
이번 인사청문회와 지명 철회는 단지 한 사람의 낙마로 끝나는 일이 아닙니다. 국민들은 앞으로의 교육을 책임질 인물이 어떤 자질을 갖춰야 하는지를 다시 묻고 있는 것입니다.
다음 교육부 장관에게 필요한 것
- 유초중등부터 고등교육까지 아우를 수 있는 교육철학
- 현장에 기반한 실무 정책 이해도
- 국민을 설득할 수 있는 소통과 공감 능력
- 정치적 중립성과 윤리적 신뢰성
교육부 장관은 한 명의 관료가 아니라, 국민 전체의 미래와 직결된 ‘교육 국가 전략가’여야 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