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스키 하면 떠오르는 나라가 어디인가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미국, 그리고 일본 정도를 떠올릴 것입니다.
하지만 최근 세계 위스키 시장에서 독보적인 존재감을 발휘하고 있는 브랜드 중 하나는 놀랍게도 대만에서 탄생했습니다.
그 이름은 바로 카발란(Kavalan)입니다.
아직 낯설게 느껴질 수 있는 이름이지만, 이 브랜드는 불과 10여 년 만에 수많은 국제 위스키 대회에서 상을 휩쓸고, 세계 위스키 애호가들의 눈과 입을 사로잡았습니다.
오늘은 카발란 위스키가 어떻게 세계 무대에 올라섰는지, 그리고 그 기반이 된 카발란 증류소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드리겠습니다.
1.한 병도 못 만들던 나라에서 시작된 위대한 도전
2002년, 대만 정부는 오랫동안 유지해오던 국영 주류산업 독점 체제를 해제했습니다.
민간 기업도 이제 위스키를 만들 수 있게 되자, 킹카 그룹(King Car Group)이라는 식음료 기업이 가장 먼저 도전에 나섰습니다.
이 기업의 창립자 티엔츠싱(田朝興) 회장은 누구보다도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대만에서도 위스키를 만들 수 있다, 아니 세계 최고의 위스키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품고, 2005년부터 본격적인 위스키 생산을 준비하게 됩니다.
그러나 문제는 경험과 기술이 없었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래서 킹카 그룹은 스코틀랜드의 위스키 전문가, 특히 ‘트로피컬 위스키 숙성법’의 권위자 짐 스완 박사(Jim Swan)를 영입해 대만 기후에 맞는 위스키 제조법을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선택은 카발란의 미래를 바꾸는 결정이 되었고, 세계는 곧 이 ‘대만산 싱글 몰트’에 주목하게 됩니다.
2.이란 평야에서 시작된 혁명 – 카발란 증류소
카발란 위스키는 대만 북동부 이란현 유안산향(員山鄉)이라는 조용한 시골 마을에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이곳은 대만의 ‘설산(雪山)’에서 흘러나오는 청정 지하수가 풍부하고, 고온다습한 기후 덕분에 위스키 숙성 속도가 빠릅니다.
이러한 기후 조건은 전통적인 위스키 제조 지역에서는 보기 힘든 특징으로, 짧은 숙성 기간에도 깊고 진한 풍미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해주었습니다.
현재 카발란 증류소는 아시아 최대급 규모를 자랑하며, 연간 1,000만 리터 이상의 생산량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방문객에게도 열려 있어, 매년 100만 명 이상이 찾는 인기 관광지이기도 합니다.
거대한 구리 증류기와 수천 개의 캐스크가 쌓인 숙성고, 그리고 시음 공간과 기념품 숍까지... 위스키 애호가라면 꼭 한번 방문해보고 싶은 장소입니다.
3.카발란 위스키 – 맛과 철학이 담긴 라인업
카발란은 다양한 위스키 라인업을 통해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모두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 카발란 클래식
열대 과일 향과 부드러운 질감이 어우러진 대표 제품입니다. 카발란의 시작을 보여주는 상징 같은 위스키입니다. - 디스틸러 셀렉트 No.1 / No.2
비교적 저렴하고 부드러워 입문자들에게 적합한 제품입니다. 바닐라와 나무 향이 조화를 이룹니다. - 솔리스트 시리즈 (Solist)
카발란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싱글 캐스크 시리즈로, 셰리, 버번, 피노, 코냑, 포트 등 다양한 캐스크에서 숙성됩니다. 모두 캐스크 스트렝스로 병입되어 깊고 강렬한 풍미를 자랑합니다. - 콘서트마스터, 포디움 등
개성 있는 라벨과 블렌딩 기술이 돋보이는 제품으로, 와인 캐스크 숙성이나 복합 캐스크 피니시가 특징입니다.
각 위스키는 트로피컬한 과일향, 고소한 오크향, 크리미한 질감을 중심으로 하며, 카발란만의 독특한 숙성 환경이 만들어내는 결과물이기도 합니다.
4.세계가 먼저 알아본 위스키
카발란이 본격적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게 된 계기는 2010년 영국의 블라인드 테이스팅 대회였습니다.
이 대회에서 카발란 클래식은 맥캘란, 글렌피딕 등 스코틀랜드의 유명 위스키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합니다.
이어 2015년 World Whiskies Awards에서는 솔리스트 비노 바리크(Vinho Barrique)가 세계 최고의 싱글 몰트 위스키로 선정되며 세계 무대에 완전히 올라서게 됩니다.
그 이후로도 IWSC, ISC, San Francisco World Spirits Competition 등 세계 유수의 대회에서 수상 행진을 이어가고 있으며,
뉴욕타임스, 가디언, 포브스 같은 글로벌 미디어에서도 “위스키계의 다크호스”로 극찬을 받았습니다.
5.대만의 자부심, 그리고 우리의 가능성
카발란의 이야기를 들으면 한 가지 질문이 떠오릅니다.
“그렇다면 한국도 위스키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실제로 최근 한국에서도 ‘지나(ZENA)’, ‘더한’, ‘삼양 위스키’ 등 다양한 국산 위스키가 출시되고 있으며, 증류소도 하나둘씩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는 분명히 카발란이 보여준 성공 모델이 영향을 준 결과라 볼 수 있습니다.
위스키는 단순히 술이 아니라, 한 나라의 기술력과 자존심, 그리고 철학이 담긴 예술입니다.
그리고 카발란은 그것을 대만이라는 열대 섬나라에서 증명해낸 브랜드입니다.
카발란은 이제 단순히 '대만에서 만든 위스키'가 아닙니다.
그 이름에는 불가능에 도전한 용기, 자연을 이해한 기술, 세계로 뻗어간 자부심이 담겨 있습니다.
혹시 위스키를 처음 접하신다면,
혹은 새로운 브랜드를 찾고 계시다면,
카발란 한 병을 천천히 음미해보는 건 어떨까요?
그 속에서 대만의 공기, 설산의 물, 그리고 한 기업가의 꿈이 함께 녹아 있을지도 모릅니다.
'술의 역사와 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한국 RTD 하이볼 신제품 완전정리 (0) | 2025.07.15 |
---|---|
맥주와 와인을 빚은 수도사들 — 기도와 양조 사이의 이야기 (0) | 2025.07.10 |
2025 7월 이마트24 이달의 주류 할인! N포인트 결제시 페이백으로 돌려받는 주류 알아보기 (0) | 2025.07.05 |
이마트24 2025. 6월 주류할인 행사, 네이버머니 결제시 페이백추가 할인 혜택 (3) | 2025.06.04 |
소주의 전쟁! 진로는 왜 무너졌으며 결국 지금의 승자는? (1) | 2025.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