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더락, 니트, 노즈, 하이볼등 위스키의 기본 용어 알아보기
본문 바로가기
술의 역사와 술이야기

온더락, 니트, 노즈, 하이볼등 위스키의 기본 용어 알아보기

by 5914 2024. 12. 24.
반응형

위스키의  지금 바로 입문하신 분들은 익숙하지 않은 위스키용어들을 듣게 됩니다.
익숙하지 않은 기본적인 위스키 용어 몇 가지를  적어볼까 합니다.

 

온 더락 (on the rocks) 

위스키를 얼음을 넣어서 마시는 방식을 말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얼음은 집에서 얼린 얼음보다 편의점에서 파는 둥근 얼음을 넣어서 마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판매되는 둥근 얼음은  집에서 얼린 얼음보다 단단하여  느린 속도로 녹는 편이고 각진 얼음보다 둥근 얼음이  위스키에 닿는 면적이 좁아서  더 천천히 놓습니다.
얼음이 천천히 녹아야 위스키의  본연의 맛을 잘 유지하면서 즐길 수 있습니다.
 

니트 (neat)

위스키에 아무것도 타지 않고 실온에서 그대로 마시는 것을 말합니다.
니트로 마실 때는 향을 음미하면서 마시는 게 중요해서  마시는 잔을 잘 선택하시는 게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위스키 전용으로 판매되는 테이스팅 글라스나  주로 온 더락에 쓰이는 올드패션 잔에  마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소주잔처럼 작은 샷잔은 위스키의 향을 제대로 느끼기가 어려우니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노즈 (nose)

위스키를 마시기 전에 먼저 향을 맡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위스키를 니트로 마시는 겨우 물 한두 방울을 떨어뜨려 주시면  위스키의 향이 더 살아납니다.
 
 

 

팔레트

위스키를 한 모금  마셔서  천천히  굴리면 입안에서 전체적으로 퍼지는 맛을 말합니다. 
 

피니쉬

위스키를 삼키고 나서 입안에 남은 여운의 맛을  말합니다.

알콜부즈 

위스키의 알콡향이 너무 강해 코를 찌르거나  위스키에서 쓴맛이  지나치게 났을 때를 말합니다.
 

 

하이볼 (highball)

위스키나 브랜디 등 증류주에 탄사음료를 얼음에 넣어 마시는 음료를 말합니다.

하이볼은  술과 첨가물에 따라 다양한 맛을 낼 수 있어서  음주를 즐기는 분들에게는  사랑받는 술입니다.
시중에는 다양한 하이볼 제품이 많이 출시되어  이제는 굳이 제조하지 않아도 언제든지 즐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위스키의 연도

위스키는 오크통에 넣어 숙성을 시킨 뒤  병입을 하는데 오크통에 숙성된 기간이 길어지면 라벨에 몇 년이라고 표시합니다.
xx12년, 17년, 30년 등은  숙성된 년수입니다,  몇 년 산이라고 부르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뒤에 산이 붙으면  숙성된 년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몇 년 산이라고  하시면 안 됩니다.
 

나스 ( NAS)

"None Age Statement"를 줄여서 NAS라고 부르는데  숙성 연수를 
  표기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스카치위스키

스카치위스키 협회에 규정에 따라 곡물, 물. 효모 세 가지 재료로 하여 만든 증류주로 스코틀랜드 안에서 만들어야 하고 오크통 안에서  3년 이상 숙성을 해야 하며 병입시 알코올 도수가 40도 이상이어야 스카치위스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버번위스키

미국 정부의 규정에 따라 위스키의 주재료인  옥수수를 51% 이상 들어가야 하고  속을 태운 새 오크통에서 숙성을 해야 버번위스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싱글 위스키

단일  증류소에서 100%의 보리만 사용하여 단식 증류기를 사용하여 만든 위스키입니다.

 

싱글 그레인위스키

단일 증류소에서 혼합 곡물을 사용하여 만든 위스키입니다. 그레인위스키는 연속식 증류기를 사용하여도 
상관없습니다.
 

블렌디드 위스키

몰트 위스키와 그레인위스키를 혼합 한  위스키
 

 

 

캐스크와  배럴 (cask. barrel)

둘 다 위스키를 숙성시키는 오크통을 의미합니다

스카치위스키에서는 주로 캐스크라고 쓰이며 미국에서는 배럴이라고 표현합니다.
 

세리 오크통

와인을 만드는 세리 지방에서 나오는 와인 오크통을 말합니다.
세리 와인을 숙성시킨 오크통에  위스키를 숙성시키면 향긋한 과실향과 달콤함이 더  해져 위스키의 풍미를 
살릴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