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경왕후의 집안은 남편 이방원이 때문에 망하였다
본문 바로가기
조선, 일제시대

원경왕후의 집안은 남편 이방원이 때문에 망하였다

by 5914 2025. 1. 1.
반응형

원경왕후는 태종 이방원의 부인이자 세종대왕의 어머니입니다. 그녀는 남편 이방원이 왕이 되는 과정의  큰 역할을 하였으나 돌아온 것은  그녀의 비극이었습니다
 
 

                      

1. 그들의 만남

태종의 정비 원경왕후 민 씨는 권문세족 여흥 민 씨에 여흥부원군 민제의 딸로 1365년에 여흥에서 태어났습니다. 
원경왕후 민씨의  친정은 고려 최고의 명문집안이었습니다.  
아버지 민제는 성균관에서 사성을 지내며 제자를 양성하였습니다.   민제는 성균관에서 어린 이방원의 총명함을  눈여겨보고 서는 자신 아끼는 딸  민 씨와 혼례를 올리게 합니다.
민 씨는 외모와 총명함을 두루 갖춘 여인이었습니다.
이방원은 민 씨의 처럼 명문 집안은 아니지만 당시 아버지인  이성계의 활약으로  무인집안인데도 불구하고 신흥세력으로  떠오르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고려의 풍습에 따라 민 씨 일가에서 신혼생활을 시작하였습니다.
민 씨와 이방원의   사이는 더할 나위 없이 좋았습니다. 그리고 이방원 17세 어린 나이에  과거급제를  하여 장인어른 민제의 자랑이었으며 아버지 이성계의 자식 중에 유일하게  문과 급제을 한  총명한 아들이었습니다.  

 

2. 이방원 왕이 되다.

1388년 민 씨의 시아버지인 이성계가 요동 정벌에 나서다가 개경으로 회군을 하여 고려의 왕 우왕을 폐위시키고 정권을 장악을 하였습니다.   이 여세를 몰아 이성계는 새로운 나라 조선을 1392년에 건국하게 되었습니다.  조선 건국에는 민 씨의 친정과 남편 이방원의 공도 많이  컸습니다.
그러나 왕이 된 이성계는 남편 이방원을 배척하고 두번째 부인 사이에서 얻은 어린 아들 방석을 세자로 책봉을 하였습니다.  
이성계는 다 큰 아들들보다 정도전과 두번째 부인 강 씨에게 힘들 더 실어주었던 것입니다.
정도전은 불만이 많은 왕자들을 견제하기 위해 왕자들의  사병들과 무기들을 몰수하였습니다.  이것을 사병혁파라고 합니다.

반응형

민 씨는  훗날을 위해  일부 무기들을 몰래 숨겨놓고  무사 출신이 두 남동생을 통해 무기들을 몰래 빼돌려 모아 두었습니다.
남편 이방원이  정도전을 없애기로 결심을 하자 민씨는 그동안 모아 두었던 무기들을 내놓았습니다.
그리고 민 씨 일가의 적극지원으로 이방원은 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성공하였습니다.
정도전을 죽이고 이복동생 방석을 죽이고 둘째 형 정종이 왕으로 올리고 이방원은 세자가 되었습니다. 민 씨는 도 세자빈으로 즉위하게 됩니다.
얼마뒤  제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납니다. 이방원의 형인 이방간이 난을 일으켰는데  차마 형을 칠 수가 없어서 갈등하고 있었는데  민 씨의 과감한 결단으로 2차 왕자의 난을  처리하게 하였습니다.
 정종은 이방원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뒤로 물러납니다.  1400년 드디어 조선 제3대 왕 이방원 태종이 왕이 되었습니다.

3. 태종 이방원 원경왕후를 외면하다.

원경왕후 민 씨 일가 지원 덕분에 태종이방원은 왕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태종은 왕으로 오른 후 장인어른인 민제에게는 부원군 작위를 내리고 원경왕후  두 남동생에게는 1차 왕자의 난의 공으로 공신을 책봉이 되었습니다.  원경왕후의 일가의 권세는 더 커져가고 있었습니다.
원경왕후는 남편 태종이 좋은 성군이 되도록 뒤에서 힘껏 도울 결심을 하였지만  태종은 왕이 된 후  다른 여인들에게 눈을 돌리기 시작하였습니다.  
태종은 왕실의 강화를 위해 후궁을 들이기 시작하였습니다.  당연히 원경왕후는 태종의 행동에   잔소리를 하였고 그들의 사이는 멀어지고 말았습니다.   갑자기 변화 태종의 행동은 원경왕후와 민 씨 일가의 외척 세력을 누르고자 하는 마음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심지어 태종은 원경왕후가 궁 밖에서 데리고 들어온 시녀까지  자신의 여인으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그 사실은 안 원경왕후는 그 시녀에게  호되게 꾸지람을 내렸는데  태종이  알게 되었습니다.  태종은 원경왕후의 처소의  시녀와 환관들을 다 내쫓아 버렸습니다.  그 넓은 처소에  아무 도움 없이 혼자 지내는 처지로 만들어 버린 것입니다.  태종은 어떻게든 원경왕후의 기세를 꺾고 싶었던 모양입니다.
그 후 태종은 원경왕후 보라듯이 18명의 후궁을 들이고 맙니다.  
원경왕후의 심정이 정말로 착잡하였을 것입니다.

4. 비극은 아직 끝나게 아니었다.

원경왕후와 태종사이에는 4남 4녀가 있었습니다.  그중 양녕대군 앞에 연달아 아들 셋을 잃은 뒤 얻은 아들이어서 양녕대군 자체가 이들 부부에게는 귀한 자식이었습니다.
태종이 왕이 되기 전에 양녕대군은 민 씨 일가에 거 키워져  외삼촌들과 많이 친한 편이었습니다.
왕이 된 태종은 대를 이을 양녕대군과 민 씨일가 사람들이 친한것이 마음에 안들었습니다. 양녕대군이 훗 날 왕으로 올랐을때 민씨 일가의 세력은 이루 말할 수 없이 높아질 것이 뻔했습니다.
태종은 양녕대군이 세자 시절  원경왕후의 두 남동생이 역모를 꾸미고 있다는 상소문이 올라옵니다.  내용인즉 세자 외 왕자들을 없애고  현 세자인 양녕대군을 왕으로 올린다는 계획이었습니다.
태종은 이 상소문 기반으로 두 민 씨 형제를 역모죄로 몰아갔습니다.  원경왕후는  부모님이 살아 있을 때까지만 살려달라고 태종에게 부탁까지 합니다.  결국 유배로 끝이 났지만 태종은 그들을 살려둘 마음은 없었습니다.  태종은 외척인 민 씨 일가의 권세를 어떻게든 꺾어야 한다고  생각을 한 것입니다.
원경왕후의 부탁대로 아버지 민재가 돌아가신 후 얼마뒤 태종은  제주도 유배지로 보내어서 자결을 명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원경왕후의 친정은 쇠퇴하기 시작하였습니다. 6년 후 나머지 두 남동생들도 죄인으로 몰려 유배지에서 죽게 되었습니다.
남편  태종 이방원 손에 원경왕후 친정 민 씨 일가는 정말 몰살당하고 말았습니다.
그 후 원경왕후는 모든 것을  체념하고 그저 세상을 지켜만 보고 살아야만 했습니다.  그녀가 병들어 시름시름 앓아을 때  그 자리를 지킨 사람은 남편 태종이라고 하지만  그게 무슨 의미가 있었을까요~
결국 1420년  그녀는 허망한 세상과 작별을 하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