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사늑약은 조약이 아니었다 — 일본이 침략을 정당화한 첫 수”
역사는 기록이자, 증언이며 때로는 판단입니다. 1905년 11월 17일, 덕수궁 중명전에서 체결된 을사늑약(乙巳勒約)은 그 어떤 조약보다도 깊은 상처를 남긴 역사적 사건입니다. 하지만 이 조약은 단지 외교권을 빼앗긴 비극만을 뜻하지 않습니다. 그 이면에는 불법적인 체결, 무력의 협박, 고종의 부재, 관리들의 분열, 순국과 배신의 선택이 얽혀 있습니다.오늘 이 글에서는 을사늑약이 왜 불법이었는지, 이 조약이 시대마다 어떤 이름으로 불렸는지, 왜 고종은 서명하지 않았는지, 어떤 이들이 이에 맞서 싸웠으며 결국 조선은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깊이 있게 다뤄보려 합니다. 1조약이 아닌 '늑약', 불법으로 탄생한 문서을사늑약은 일본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강제로 빼앗기 위해 만든 문서입니다. 공식적으로는 ‘한일협상조약..
2025. 6. 14.
“역사상 가장 잔혹한 여인? 피의 드라큘라, 바토리 백작부인의 진실인가~
"수백 명의 소녀를 죽이고, 그 피로 목욕을 즐긴 여인."바토리 에르제베트를 소개하는 이 한 줄의 문장은 수많은 다큐멘터리, 소설, 게임, 영화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그리고 지금도 그녀는 ‘기네스북에 오른 여성 연쇄살인범’이라는 말로 인터넷을 떠돌고 있습니다.하지만 여러분은 알고 계셨나요?그녀가 남긴 ‘피의 전설’이 모두 허구일 수 있다는 사실을요.1.전설의 시작: 피의 목욕, 650명의 희생자헝가리의 귀족 여성, 바토리 에르제베트(1560~1614).그녀는 당시 유럽 귀족 중에서도 가장 영향력 있는 가문에서 태어났고, 막대한 재산과 지식, 그리고 정치적 독립성을 갖춘 여성이었습니다.그런 그녀가 남긴 전설은 끔찍합니다.하녀들을 고문하고, 손톱을 뽑고, 가위로 살을 잘라내고, 벌거벗긴 채 추운 밖에 세워 ..
2025. 6. 12.